so that 결과?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가능합니다.
'so that'은 주로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로 사용되지만, 문맥에 따라서는 '그 결과 ~하다' 또는 '그래서 ~하다'라는 결과를 나타내는 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so [형용사/부사] that' 구문이 결과를 명확하게 나타내지만, 'so that' 자체만으로도 결과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1. 목적 (~하기 위해서)
* 가장 흔한 용법입니다.
* 'in order that'과 의미가 비슷합니다.
* 'so that'절에는 주로 can, could, may, might, will, would 등의 조동사가 함께 쓰입니다.
* 예: He studied hard so that he could pass the exam. (그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했다.)
2. 결과 (그 결과 ~하다, 그래서 ~하다)
* 앞선 절의 내용에 따른 결과를 나타냅니다.
* 'and as a result', 'with the result that ....'과 의미가 비슷합니다.
* 목적 용법과 구분하기 위해 'so that' 앞에 콤마(,)를 찍는 경우가 많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질문 주신 수능특강 문장처럼 콤마 없이 쓰이기도 합니다.)
* 예: The rain was falling heavily, so that the roads became flooded. (비가 심하게 내려서, 그 결과 도로가 침수되었다.)
질문 주신 수능특강 문장 분석:
> we tend to extract the gist and meaning from our experiences so that what we infer may be mixed up with what we actually experience.
>
이 문장에서는 우리가 경험에서 요점과 의미를 추출하는 경향(원인/행동)이 있고, 그 결과(so that) 우리가 추론한 것과 실제로 경험한 것이 뒤섞일 수 있다(결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즉, 요점을 추출하는 행위의 목적이 추론과 경험을 뒤섞는 것이 아니라, 요점을 추출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그런 현상이 발생한다는 뉘앙스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so that'은 결과적 용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정리하자면, 'so that'은 주로 목적으로 쓰이지만 문맥에 따라 결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수능특강 문장에서 결과 용법으로 해석한 것은 올바른 분석입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